예 수 재 (預修齋) : 생전 예수재

 

일반적으로 4년에 한번씩 돌아오는 윤달에는 사찰에서 '예수재'를 행하게 된다.
이렇게 윤달에 치루게 되는 '
예수시왕생칠재(豫修十王生七齋)'를 간단히 '예수재(預修齋)'라 부르는 것이다. - 이때 사찰의 계획에 따라, 지내게 되는 재(齋)의 외형적 규모를 크게 하여, '영산재'나 '수계의식' 등의 행사를 겸하는 경우가 많다.
예수재는 지장신앙과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예수시왕생칠재의(預修十王生七齋儀)라는 문헌에 근거를 두고 있다.

예수재(預修齋)를 지내는 것은, 사후세계에 '극락왕생' 하기 위하여., 즉

정대

이 다음에 죽어서 명부의 심판을 받아 다시 태어나는,

내생의 세계 - 육도의 세계 중에서 좋은 곳에 태어나기 위해서 지내는 '재'라하여

'생전예수재' 또는 '생칠재'라고 하며,

살아서 재를 올려(공덕을 쌓는 행위), - 선근공덕을 미리 지어 훗날, - 다음 세상에 극락에 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살아있는 동안에 미리 재(齋)를 올려 '미리 공덕을 쌓는 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재 의식'으로, 중국 도교의 '시왕신앙(十王信仰)'에서 수용된 것으로, - 밀교적 성향이 짙은 불교의식이라 할 것이다.

"생전에 좋은 인연을 닦지 않고 죄만 많이 지은 사람이 죽은 후, 죽은자의 권속들이 그 사람을 위해 공덕을 베풀지라도 그가 받을 수 있는 것은 7분의 1뿐이고 나머지 7분의 6은 살아있는 사람들 스스로에게 돌아가게 된다. 그러므로 현재나 미래의 중생들은 스스로 수행하여 그 공덕을 받으라."_지장보살본원경-'이익존망품'

※염라대왕이 수기를 받는 불설예수시왕생칠경(佛說預修十王生七經)과 지장경(地藏經) =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

'buljahome'_main frame

홈'이동◀안내 :[년중법회예불]: 다음▶영산재  


 

나누며 함께하는 buljahome.com  Back◁이전